물가와 환율 부담 낮춰, 국내 항공사들 중국·일본 노선 확대

 

국내 항공사들, 물가와 환율 부담 덜어주는 ‘중국·일본 노선’ 확대

2025년 하계 시즌(3월 30일~10월 25일)을 맞아 국내 항공사들이 중국과 일본 노선 운항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물가와 환율 부담이 비교적 낮고, 여전히 인기 있는 여행지인 중국과 일본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항공사들이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운항을 확대하는 것이다.

항공사들, 중국·일본 노선 운항 확대

30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동안 운항하는 중국과 일본 노선은 128개로 지난해보다 13개가 증가했다. 대한항공은 이미 지난해 말 취항한 인천∼푸저우 노선을 기존 주 3회에서 주 4회로 확대하여, 중국 노선에서 주당 195회 운항하게 된다. 이는 2019년 수준의 약 90%에 해당하는 수치로, 대한항공은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노선에 대해서는 대한항공이 4월 18일 인천∼고베 노선에 신규 취항하면서 주 2회 운항을 시작한다. 일본 노선의 추가 운항은 일본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결과로, 일본 여행이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임을 보여준다.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다른 항공사들도 중국·일본 노선 증편

아시아나항공은 이날부터 인천발 충칭, 청두 노선에 취항하여 주 7회, 즉 매일 운항을 시작했다. 또한 인천∼다롄 노선은 주 7회에서 10회로, 인천∼옌지 노선은 주 5회에서 7회로 운항을 확대했다. 이 외에도 인천∼창춘 노선은 주 4회에서 9회로, 인천∼창사 노선은 주 4회에서 5회로 증편되었다.

제주항공은 제주발 시안, 홍콩 노선에서 주 2회로 운항을 재개하며, 인천발 오사카 노선은 지난해 하계 스케줄 기간보다 늘어난 주 28회 운항을 시작한다. 특히, 인천발 마쓰야마 노선은 주 7회에서 14회로 두 배 확대되었으며, 티웨이항공은 4월 21일과 22일 중국 옌지로 향하는 청주발과 대구발 주 3회 노선에 각각 취항한다.

진에어는 인천발 일본 이시가키지마에 주 5회 일정으로 단독 취항을 시작하며, 부산∼나고야, 후쿠오카 노선도 주 7회 운항을 재개한다. 에어부산은 부산발 중국 옌지 노선을 주 3회에서 6회로 증편하고, 장자제 노선은 주 4회에서 6회로 확대한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동계 시즌 운항하지 않았던 제주∼상하이, 청주∼장자제 노선에서 다시 운항을 시작한다.

중국·일본 노선, 물가와 환율 부담 덜어주는 인기 지역

항공업계 관계자는 올해 하계 기간에도 물가와 환율 부담이 낮은 중국과 일본의 인기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작년 말 한국인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가성비 좋은 여행 상품이 대거 출시되었고, 이는 여행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은 엔화 환율이 오르는 추세지만, 단거리 여행지로서 상대적으로 환율 영향이 덜해 수요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항공사들은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여 중국과 일본 노선의 운항을 증편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여행객들의 선택 폭을 넓히고 더 많은 여행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일본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방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은 여행객들이 여전히 선호하는 여행지로 남아 있다.


국내 항공사들은 물가와 환율 부담이 비교적 적은 중국과 일본 노선에서의 운항을 대폭 늘리고 있다. 이는 항공사들이 중국과 일본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여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향후 하계 시즌 동안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은 여전히 인기 있는 여행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여행객들에게는 다양한 노선과 선택지가 제공되며, 항공사들은 더 많은 여행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선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티스트그룹, MBN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추진과 사업 확장

외국인 건강보험 가입 요건 (2025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