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차기 DX 부문장 인선 임박…후임자 발굴에 속도 낸다
삼성전자, 차기 DX 부문장 인선에 주목 삼성전자가 고(故) 한종희 전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유고로 생긴 리더십 공백을 메우기 위한 후속 인사 작업에 착수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월 28일 중국 출장을 마치고 귀국한 뒤, 빠른 시일 내에 후임 인선안을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고 있는 직책은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이며, 차기 DX 부문장의 인선은 삼성전자의 향후 경영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리더십 공백을 채울 차기 DX 부문장 후보군 삼성전자는 2025년 3월 27일 한종희 부회장의 장례를 마친 후 본격적으로 후임자 발굴 작업에 돌입했다. 한 부회장이 맡았던 DX 부문장 외에도 생활가전(DA) 사업부장 및 품질혁신위원장 등의 후속 인사가 필요하다. 특히 DX 부문장 직책은 스마트폰, TV, 생활가전 등 다양한 핵심 부문을 아우르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삼성전자는 후속 인선에 신속하게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재계에서는 차기 DX 부문장 후보로 노태문 MX사업부장, 용석우 VD사업부장, 전경훈 DX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노태문 사장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손꼽히고 있다. 노 사장은 2020년부터 삼성의 스마트폰 사업을 책임지고 있으며, 최근 갤럭시S25 시리즈와 폴더블폰의 성공적인 출시로 주목을 받았다. 그는 현재 DX 부문의 유일한 사내이사로, 이사회 의결만으로 대표이사로 선임될 가능성도 높다. 노태문 사장의 DX 부문장 승격, 가능성과 우려 노태문 사장이 DX 부문장으로 승격할 경우, 그는 MX사업부를 겸임하거나, 최원준 MX사업부 개발실장이 후임 MX사업부장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노 사장이 스마트폰 사업에 집중해 온 만큼 TV와 생활가전 부문까지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는 DA사업부장 자리를 따로 두어, MX사업부와 DA사업부를 각각 분리하여 관...